동아시아지역질서연구회
  • 연구회 소개ㅣAbout
    • 프로젝트 소개ㅣIntro
    • 연구진 소개ㅣMembers >
      • 전재성 교수
      • 손열 교수
      • 신욱희 교수
      • 민병원 교수
      • 이용욱 교수
      • 신기영 교수
      • 김애경 교수
      • 정주연 교수
      • 이정환 교수
      • 은용수 교수
      • 장기영 박사
      • 최경준 박사
  • 연구계획ㅣResearch Plan
    • 연구목적       Research Purpose
    • 연구내용       Research Content
    • 프로그램ㅣPrograms >
      • SSK 연구진 세미나    SSK Research Seminar
      •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Invitational Seminar >
        • 1 - 6회
        • 7 - 12회
      • 전파연구모임      Jeonpa Research Group >
        • 2012년 활동내역
        • 2013년 활동내역
        • 2014년 활동내역
        • 2015년 활동내역
      • SSK 외부활동 SSK External Activities >
        • 2013 년도 및 2014 년 상반기   
      • 대학원생 세미나: 서울대 Graduate Seminar: SNU >
        • 시리즈 1
        • 시리즈 2
        • 시리즈 3
        • 시리즈 4
        • 방학세미나
      • 대학원생 세미나: 이화여대 Graduate Seminar-Ewha Univ. >
        • 시리즈 1
        • 시리즈 2
    • 연구계획       Research Plan
  • 소식ㅣNotice
  • 사진ㅣPhotos
  • 문의 및 연락처ㅣContact Us

연구내용ㅣResearch Content

Picture
Picture
Picture

연구중점사항

  • 국제정치학에서의 복합 조직원리
  • 조직원리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 각 시대별 구체적인 심화작업, 각 시대의 조직원리를 보여줄 수 있는 이슈와 사건에 대한 경험적 연구 축적, 21세기 국제정치 이론의 여러 전회(Turn)의 문제의식과 이론요소들 흡수 및 적용, 복합 규범론 발전 및 가치/실천론 발전
  • 기존의 국제정치이론의 비판적 검토, 동아시아 국제정치 이론의 현황 점검
  • 동아시아 다면적인 국제정치 게임의 분석

이 연구에서는 먼저 동아시아 국제정치를 이론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들 중 하나로 복합조직원리론을 원용할 것이다. 서구의 여러 국제정치 이론들, 특히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는 무정부 상태적 조직원리/구성원리를 이론화의 근간으로 삼는다. 국내정치의 짜임새가 위계적이라 한다면, 국제정치는 무정부적이라는 것이다. 이 양분법적 대비는 안과 밖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무정부 상태라는 개념이 부정적(否定的)정의이고 보면 구체적인 현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국제정치가 물론 주권국가의 권한을 위임받은, 혹은 주권국가를 부리는 상위의 정부가 없는 상태인 것은 명확하나 무정부 상태가 곧 무질서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정부 없는 질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성은 계속 제기되어 왔다. 무정부상태의 조직원리 개념은 국제정치의 역사성을 배제한 채, 냉전기 국제정치의 단면을 잘라 공시적(共時的)으로 관찰한 결과로 나온 성격이 짙다. 유럽의 경우, 중세의 종속 질서에서 근대의 무정부 상태로 진행되는 과정이 단순하지 않았다. 중세의 그림자가 길었고 중세와 근대의 중첩기간도 오래 지속되었다.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근대화는 아직 완결되지 않은 채 현재 진행형이며 그 길은 더욱 다양하다. 압축된 근대화의 역사 때문에 시간적 중첩성이 강하고 외부에서 강요된 근대 질서 때문에 공간적 전파성이 작동한다. 무정부 상태라는 부정적 정의로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짜임새를 개념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아시아 국제정치 이론화의 출발점으로 조직원리의 복합적 성격을 우선 논의할 필요가 있다. 

Research Focus

  • Complex organizing principles in international politics
  • Historical sociological analysis of organizing principles: empirical research per each time period, issues and events that provide an understanding of organizing principles of each time period
  • Review of “tur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n the 21st century and use of theoretical elements to help understand EAIR
  • Development of a complex normative framework and value/practice insights based on such work

EAIRT builds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mplex organizing principles. While Western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namely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are based on the division of organizing principles in international/domestic politics into anarchy/hierarchy, we seek to problematize the use of anarchy as an explanatory concept. Anarchy is a negative definition and as such does not provid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order. Especially in East Asia, transition into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Western sense has not been completed and there are a number of diverging principles at work. With this in mind, we need to begin our discussion with complex organizing principles.






동아시아지역질서연구회 ㅣ East Asia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ㅣ EAIRT
COPYRIGHT 2014. EAIR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