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지역질서연구회
  • 연구회 소개ㅣAbout
    • 프로젝트 소개ㅣIntro
    • 연구진 소개ㅣMembers >
      • 전재성 교수
      • 손열 교수
      • 신욱희 교수
      • 민병원 교수
      • 이용욱 교수
      • 신기영 교수
      • 김애경 교수
      • 정주연 교수
      • 이정환 교수
      • 은용수 교수
      • 장기영 박사
      • 최경준 박사
  • 연구계획ㅣResearch Plan
    • 연구목적       Research Purpose
    • 연구내용       Research Content
    • 프로그램ㅣPrograms >
      • SSK 연구진 세미나    SSK Research Seminar
      •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Invitational Seminar >
        • 1 - 6회
        • 7 - 12회
      • 전파연구모임      Jeonpa Research Group >
        • 2012년 활동내역
        • 2013년 활동내역
        • 2014년 활동내역
        • 2015년 활동내역
      • SSK 외부활동 SSK External Activities >
        • 2013 년도 및 2014 년 상반기   
      • 대학원생 세미나: 서울대 Graduate Seminar: SNU >
        • 시리즈 1
        • 시리즈 2
        • 시리즈 3
        • 시리즈 4
        • 방학세미나
      • 대학원생 세미나: 이화여대 Graduate Seminar-Ewha Univ. >
        • 시리즈 1
        • 시리즈 2
    • 연구계획       Research Plan
  • 소식ㅣNotice
  • 사진ㅣPhotos
  • 문의 및 연락처ㅣContact Us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Picture
Picture
Picture
Picture
Picture
Picture
국제정치학 또는 다른 분야에서 연구하시는 학자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발표를 듣고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관점에서 함께 토론하는 세미나입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국제정치학의 접점을 모색하면서 향후 지역질서 연구방향에 대한 식견(insight)을 얻고자 합니다.

Specialists and researchers on East Asian regional order from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re invited to present their views and discuss with EAIRT members. We seek to gain insights on direction of this research project from not only international relations, but also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제 12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북핵20년, 기자의 시각에서 본 회고와 전망”

연사: 오영환 (중앙일보 기자)

사회: 신욱희(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일시: 2014년 3월 6일(금) 4:00 – 6: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대 소회의실

참석자: 신욱희 교수, 조동준 교수, 조은정 박사, 옥창준, 용채영, 이보미, 이재현 외. 

1990년대 초반 북핵문제 발생 이후 국내에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한 북핵문제에 대한 현직 기자의 시각과 분석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짚어 본다. 
Picture
제 11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유럽정체성과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연사: 신종훈(경상대 사학과 교수)

사회: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일시: 2014년 1월 16일(금) 4:00 – 6: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대 소회의실

참석자: 신욱희, 전재성, 조은정, 홍성표, 옥창준, 이규원, 용채영, 이보미, 윤석준 외. 

유럽연합의 역사에서 정체성의 문제가 어떤 연구사적 맥락에서 제기되었으며, 이를 준거로 하여 현재 범람하고 있는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에 부족한 점을 짚음. 토론에서는 유럽과 다른 아시아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는 접근법과 정체성뿐만 아니라 제도, 이익, 관념의 수준에서 지역통합을 바라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icture
신종훈 발표문
File Size: 1671 kb
File Type: pdf
Download File

제 11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녹취록
File Size: 124 kb
File Type: pdf
Download File


제 9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제 10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지금 중국의 무엇을 말할 것인가”

연사: 김희교(광운대 동북아대학 교수)

사회: 신욱희(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일시: 2014년 11월 24일(월) 4:00 – 6: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대 소회의실

중국을 바라보는 한국의 시선을 검토했다. 일례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문제에 대한 한국 언론의 중국 보도는 서구적 시각을 내면화한 오리엔탈리즘에 가깝다. 한국 지성계에는 중국을 보는 한국만의 독자적인 담론이 부재하다. 전통 중화 제국과 사회주의 중국,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여러 단절적인 측면을 포착하는 시선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중국의 복합성과 총체성을 복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다.
“변환의 국제정치와 한반도: 중견국 한국의 역할”

연사: 신동민(외교부 평화체제과 사무관)

일시: 2014년 12월 11일(목) 2:00 – 5: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대 국제회의실 349호

외교부의 여러 조직과 역할, 한국의 중점 외교과제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특히 현재 동북아 지역의 남북관계, 한중관계, 중일관계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탈냉전 조직원리의 중첩 현상을 다루기 위한 외교부 차원의 분업 구조가 존재한다. 앞으로 한국의 외교과제로서, 주변 강대국들에 대한 통일외교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통일외교를 위한 기초는 단순한 물질적 능력이 아닌, 비-물질적 능력을 부각할 수 있는 기민한 중견국 외교다.

제9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녹취록
File Size: 171 kb
File Type: pdf
Download File


제 8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냉전사 연구에서 다원주의 시각”

연사: 권헌익(서울대 인류학과 초빙교수)

사회: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일시: 2014년 10월 20일(월) 4:00 – 6: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대 336호

현대 인류학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를 통해 냉전이 인류학에 미친 영향을 탐구함. 냉전은 인류학의 상대주의에 입각한 세계를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인류학이 추구했던 상대주의, 다원주의 시각은 현재 냉전사 연구에서 활발하게 수용되어, 신냉전사 연구 경향을 주도하고 있다. 신냉전사 연구를 통해 탈식민/민족자결을 기초로 하는 아시아 냉전의 양상은 냉전의 주변이 아니라, 주요한 축으로 승인되었다.

Picture
발표문_냉전사 연구에서 다원주의 시각
File Size: 32 kb
File Type: hwp
Download File

제8차 외부연사초청 집담회 녹취록
File Size: 160 kb
File Type: pdf
Download File


제 7차 외부인사초청 집담회
“주변의 이론 – 지식생태학과 라틴아메리카”

연사: 김은중(라틴아메리카연구소 HK 연구교수),

사회자: 전재성(서울대 외교학과)

일시: 2014년 9월 30일(화) 4:00 – 6:00

장소: 서울대 사회대 소회의실

신자유주의화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대안적 담론을 지식생태학 차원에서 검토함. 이론의 차원으로는 라틴아메리카에 등장한 근대성/식민성 그룹의 논의를 소개. 주변의 이론이 주변의 실천과 결합하면서, 트랜스모더니티로 나아가는 모습을 알 수 있었음. 이후 차베스의 ‘21세기 사회주의’로 대표되는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볼리비아의 여러 정치적 실험 등을 검토했다. 
Picture
제 7차 외부인사초청 집담회 녹취록
File Size: 168 kb
File Type: pdf
Download File

<< first
<  previous
1
next  >
last  >>



동아시아지역질서연구회 ㅣ East Asia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ㅣ EAIRT
COPYRIGHT 2014. EAIRT ALL RIGHTS RESERVED.